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보수제도3

공무원 보수제도 - 지방공무원의 수당 지방공무원의 수당 - 상세히 알아보기 상여수당 중 대우공무원수당 관련: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2 내용: 지급대상: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31조에 따라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된 자 지급금액: 당해 공무원 월 봉급액 × 4.1% ※ 주의사항: 대우공무원수당 + 월 봉급액 > 승진시 월봉급액 초과할 경우 → 당해직급 월 봉급액 - 상위직급 월 봉급액의 차액을 대우공무원 수당으로 지급 상여수당 중 정근수당 관련: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6조 내용: 지급시기: 연 2회 (1월, 7월 보수지급일) 지급대상 가. 1월 정근수당 현재 공무원의 신분을 보유하고 봉급이 지급되는 자 中 지급대상기간(전년도 7. 1.~12. 31.)동안 1월 이상 봉급이 지급된 공무원.. 2022. 12. 14.
공무원 보수제도 - 수당제도 공무원의 수당제도 공무원 수당은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보수 중의 일부로서 직무여건 및 생활여건 등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급여를 말한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개 분야 14종으로 구분되며, 동 규정은 실비변상 4종도 함께 규정하고 있다. 동 규정은 국가공무원에게 적용되며, 지방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수당 및 실비변상은 「지방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각각의 수당 및 실비변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여수당(3종) 상위직급의 대우공무원으로 선발된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대우공무원수당, 근무연수에 따라 지급되는 정근수당, 근무실적 등이 우수한 사람에게 지급하는 성과상여금이 있다. 가계보전수당(4종) 부양가족이 있는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가족수당, 재외 근무지.. 2022. 12. 14.
공무원의 보수 제도 - 보수체계 및 봉급제도 공무원의 보수체계 보수란 봉급과 그 밖의 각종 수당을 포함한 개념이다. 봉급은 직무의 곤란성과 책임의 정도에 따라 직책별로 지급되는 기본급여 또는 직무의 곤란성과 책임의 정도 및 재직기간 등에 따라 계급별, 호봉별로 지급되는 급여를 말하며, 수당이란 직무여건 및 생활여건 등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급여를 말한다. 공무원의 봉급제도 공무원의 봉급체계는 크게 호봉제와 연봉제로 구분 연봉제는 고정급적연봉제, 성과급적연봉제, 직무성과급연봉제로 구분됨 호봉제는 호봉에 따라 봉급(기본급)이 지급되는 제도 공무원의 경우 매년 정기승급을 통하여 호봉이 올라가도록 되어있는 연공급적 성격의 보수체계로 되어있다. 호봉체계에 따른 봉급표는 직종별로 다르게 설정 봉급외에 각종 수당이 지급된다. 특히, 공직사회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 2022. 12. 14.